세리스 클라우드
[clearfix]
1. 개요
모바일 게임 에픽세븐의 5성 사수 영웅 세리스.'''반가워요. 우린 서로 도움이 될 것 같군요'''
2. 배경 스토리
퓨리우스의 고명딸이자, 문무를 갖춘 아킨의 행정관. 19살이란 어린 나이가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능숙한 일처리와 어른스러운 분위기 때문에 20대 중후반으로 오해받을 때가 많다.
세리스 본인은 나이보다 성숙해 보인다는 점에 은근히 컴플렉스를 가지고 있어 또래 여자애들이 좋아하는 것이나 유행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퍼랜드로 유학하여 공부하다가 도시 간 분쟁이 생기기 전에 다시 아킨으로 돌아왔으며 시티로드가 된 아버지 퓨리우스를 보좌하던 중 행정관으로 승진했다.
여러 도시가 힘을 합쳐 척박한 시도니아 대륙을 보다 살기 좋게 만들기를 꿈꾸지만 그녀의 바람과 달리 도시 관계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나빠지기만 한다.
==# 작중 행적 #==
에피소드2 에서 큰 비중을 가진 주역으로 매파인 아버지와는 다르게 비둘기파 지도자로 에피소드2 내내 라스, 비올레토 일행의 든든한 우방이 되어준다. 친구인 파벨과는 친구이상 연인 미만의 미묘한 관계. 두 사람의 입장 차와 파벨의 무뚝뚝한 성격 덕에 관계발전이 더디다.
3. 성능
3.1. 스킬
---
---
3.2. 평가
21년 상반기 '''0티어 선턴잡이 영웅'''으로 각광받고 있다. '''욕설'''(주의)이 들어간 한탄문 그야말로 세리스를 시원하게 평가하는 글이다.
사수 중에서도 행동게이지 조작에 특화된 스피드형영웅, 기본 속도가 122로 매우 빠른편이라 상대보다 선턴을 잡기 유리하며, 에픽세븐 최초로 특수한 디버프인 '속박'을 들고나왔다. [1] 속박이 걸린 대상은 증가든 감소든 행동게이지에 변화를 주는 모든 효과를 무시한다.
한정영웅 치고는 너무 평범한 성능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었고, 출시 후 예상대로 그리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당시 유행했던 바사르 상대로 별 힘을 못쓰는게 가장 큰 원인이였는데, 기껏 3스킬로 속박을 걸어도 상대 바사르의 3스킬로 아군 행동게이지가 내려가면 말짱 도루묵이 되기 때문이다. 그나마 보랏츠덱이나 맞으면서 버프로 버티는 덱 상대로 강력한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완전히 묻히는 신세는 면했다.
전반적인 기용률이 높지 않은 것을 고려해서인지 2020년 11월 26일 상향이 되었는데, 패치후 악명이 자자한 0티어급으로 평가를 받고있다. 한정 아티팩드인 콘필과의 궁합이 매우 사기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데, 협공 한번마다 한명 한명이 터져나가기도 하는 수준. 실험적인 목적이 크겠지만 아레나 방덱에 모습을 비추기 시작했으며 실레나에서 속도메타를 주도하는 것으로 보이고 있다.
패치 이후에는 실레나에서 악명을 떨치는 것과는 달리 구 아레나에서는 연구가 거듭될수록 한계가 명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공덱으로서는 바사르 3스나 불디카 3스와 달리 행동게이지 밀기/당기기가 전혀 없어서 모든 아군유닛의 평균속도를 230-240대로 맞춰놓지 않은 이상 중턴잡이 세팅이 까다롭고, 방덱으로서는 보랏츠 덱 하나만 잘 막을뿐 극속 릴리아스나 초승달 무희 링 등 명확한 카운터가 존재하기 때문.
문제는 세리스포함 방덱 세팅만 맞춰두면 미친 포텐셜을 그대로 보여주니 문제. 행동 게이지 주작러인 바사르와 불디카는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리며 지속적인 카운터가 등장한 반면 세리스는 메르헨 테네브리아와 같이 정신나간 성능들을 보여주면서 유저들의 극찬을 받고 있다.
3.3. 시너지 영웅
- 속도 세팅의 뚀미: 불디카 - 뚀미 듀오처럼 비슷한 듀오. 단, 세리스 이쪽은 불디카와 달리 추가 행증이 없고, 불디카처럼 상대 선턴러 스킬을 봉인할수 없어서 뚀미 세팅을 매우 빡세게 해야한다. 세리스 290 기준 뚀미 3800/300/203속 세팅을, 세리스300 기준 뚀미 3800/300/210속 정도는 해야 세리스 3스를 썼을때 상대 덱에 잔비가 있어도 상대 280 자로만 같은 선턴러 턴을 뺏을수 있다.
- 매사냥꾼 쿠루리: 불디카처럼 쿨다운 증가 스킬이 없어서 상대 루엘 등이 새삼 까다로워 지는 부분을 완벽하게 보완해준다. 게다가 세리스 1스 협공 - 매루리 룬작 행증 시너지가 겹쳐서 정말 일방적으로 두들겨 패는 수준으로 행동게이지를 엄청나게 당길수 있다.
- 극속디지: 디버프 속덱 듀오. 세리스로 면역을 풀고 디지가 3스를 쓰면 잔영의 비올레토 3스를 맞아도 간지러운 수준이 된다. 후속턴도 세리스 2스 스턴과 1스 협공, 디지 2스 디벞 연장과 디지1스 스턴의 세리스 1스 협공 연계 등으로 디버프 지옥으로 상대를 농락할 수 있다.
- 현자 바알&세잔: 디버프 속덱 듀오. 세리스로 3스 걸어서 속도를 낮추고 현자 바알세잔으로 지우는 등 메즈기 효과가 극대화된다.
- 백은칼날의 아라민타: 세리스 3스로 면역을 지우고 월민타 3스를 냅다 꽂으면 월아라 출시 직후의 그 악명높은 성능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다.
3.4. 카운터 영웅
- 반격을 가진 영웅 : 대표적으로 승부의 제라토와 퍼지스가 있다. 세리스는 내구력에 투자하는 영웅이 아니라 반격을 가진 영웅한테 한 대만 맞아도 위험하다. 보통은 혹한의 폭풍으로 기절을 걸고 때려잡으면 되지만, 승부의 제라토는 기절무시 패시브가 있고, 퍼지스는 역상성이라 50%확률로 빗나갈 뿐더러,[2] 운이 나쁘면 혹한의 폭풍에 반격이 터져 아군이 기절에 걸리는 꼴을 볼 수 있다. 반격 발동시 아군을 회복시켜주는 로앤나가 있으면 쉽게 무력화 시킬 수 있긴한데, 실시간 아레나라면 100% 밴당하므로 안습.
- 극속 릴리아스 : 극속 릴리아스는 굳이 세리스보다 빠를 필요 없이 상대방 딜러진들보다 빠르기만 하면 된다. 240-250대의 릴리아스라면 세리스가 3스를 쓰건 말건 바로 릴리아스의 3스로 풀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세리스의 파워가 크게 확 떨어진다.
- 초승달 무희 링: 하드 카운터. 기본속도가 세리스보다 빨라 초무링에게 속도를 질 수 있으며, 진 경우 3스로 2턴 면역+2스로 세리스가 기절을 당하게 된다. 반대로 초무링이 250-260대 정도로 느린 편일 경우, 일부러 세리스의 3스킬을 맞고 세리스의 무적을 훔친 후 아군에게 광역 무적을 씌워서 적의 극딜을 다 씹을 수 있다. 인도하는 빛 아티팩트를 착용하지 않고 속도 싸움에서도 진다면 세리스는 잉여가 된다.
3.5. 추천 아티팩트
- 저주의 나침반 : 효과저항세팅을 한 눕덱 상대로도 속도감소와 속박을 걸 수 있게 해준다.
- Miss콘필 : 길티기어 2차 콜라보로 추가된 사수전용 아티팩트. 30강시 1턴간 60%확률로 적에게 방어력 감소를 일으킨다. 60%라는 애매한 수치와 1턴간이라는 짧은 적용시간으로 좋다 안좋다 말이 많았지만, 빠른 속도와 1스킬 행동게이지 증가 효과로 끊임없이 적에게 방깍을 걸어버리는 세리스와 좋은 시너지를 발휘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60%라 애매할것 같지만, 막상 직접 써보면 모험가 라스의 2스 룬작 소울번을 평타로 쓰는 수준의 괴랄한 성능을 보여준다.
- 인도하는 빛 : 속도 싸움에서 제일 껄끄러운 암시더를 카운터치는 아티팩트. 2턴간 은신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대가 광역기가 없는 조합이면 엄청난 생존력을 보유할 수 있다.
3.6. 상하향 내역
- 2020년 11월 26일 : 신비한 화살 - 혹한의 폭풍이 쿨타임이면 무작위 아군에게 협공을 발생시키는 기능 추가, 찬란한 폭발 - 2턴간 강화불가를 발생시키는 기능 추가, 혹한의 폭풍 - 유리한 상성으로 적용되는 기능 추가.
4. 대사
5. 기타
- 공식채널 영웅 소개영상
- 루나, 디에네, 길티기어 콜라보[3] , 해변의 벨로나이후로 간만에 등장한 한정 영웅. 앞선 넷보다는 pvp 메타를 휘어잡고 있지는 않지만, 냉기속성으로 5연속으로 한정영웅이 출시가 되었기 때문에, '한정영웅은 무조건 냉기속성'이라는 비아냥이 나오고있다.
- 아무리 봐도 마도사임에도 쌩뚱맞게 사수캐릭으로 나왔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사수항목에도 나와있듯이 사수답지 않은 캐릭터들이 워낙에 즐비함에도 또 어거지로 사수로 넣었다는 의견이 다수.[4] 다만 이는 마도사로 나왔을시 밸런스의 문제[5] 로 어쩔수없이 사수로 넣었다는 추측이 있다.
- 세리스 프리뷰부터 신규영웅프리뷰의 퀄리티가 상승했다. 기존에는 나레이션이 영웅의 소소한 배경설정만 얘기하고 스킬설명으로 넘어갔지만 세리스를 기점으로 성우인터뷰[6] ,컨텐츠팀장인터뷰,캐릭세부설정화 등이 추가되었다.
[1] 세리스가 막 공개되었을 때의 속박은 행동게이지 증가 효과만 봉쇄하는 디버프였다. 그런데 이것이 행동게이지 증가 를 봉쇄한 후 상대 행동게이지 를 감소시키는 바사르 같은 영웅과 조합할 경우 상대방이 제대로 턴을 가져길 수 없게 만들 수 있어 밸런스가 무너질 것을 염려해서인지 출시 전 조정으로 속박에 걸린 대상은 행동게이지 감소 효과도 받지 않는 것으로 바꾸었다.[2] 찰스도 풀속성에 반격을 쓰지만 첫턴 반격후 2스킬이 안터지면 말짱 도루묵이라 약간 논외.[3] 바이켄 은 목속 한정으로 예외이긴 하다[4] 1스킬이 화살을 날리는 모션이라 사수라는 의견도 존재하나, 4성 마도인 로만도 화살을 날리는 모션을 사용기때문에 크게 설득력이 없는 주장이다.[5] 마도사 아티팩트와 조합시 강력한 캐릭터가 될 수 있다는 추측이 있다. 대표적으로 심연의 왕관.[6] 일부영웅한정